객체지향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로,
프로그래밍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시켜 상태와 행위를 가진 객체를 만들고
그 객체들 간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로직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방법입니다.
하나의 객체에 대해 그 객체가 특정한 목적을 위해 필요한 변수나 메소드를 하나로 묶는 것을 의미해요.
캡슐화를 하는 중요한 목적은 정보의 은닉화 인데요.
객체 내에 변수를 private로 선언하여 누군가의 접근에 대비하는 것 뿐만 아니라
getter, setter를 이용해서 간접적으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게
캡슐화에 중요한 목적이에요.
공통적인 요소나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을 말해요.
예를 들어보자면 차는 아우디, 벤츠, 벤틀리 등등이 있죠, 이것들을 다 클래스로 만들지 않고
단지 차 라는 것에 공통적으로 바퀴, 핸들, 문 등 필수적인 부품이 있고 바퀴는 굴러가야하고, 차 문은 열려야하며, 핸들은 좌 우로 돌아가야하죠.
즉 이 공통적인 행동들을 추출하면 어떤 차든 필수적으로 필요한 메서드가 추출되겠죠 ?
이렇게 공통되는 요소, 특징을 줄여가는걸 추상화라고 해요.
추상화를 하면 얻는 이점은 코드의 재사용성, 가독성 향상, 생산성 증가, 유지보수 시간 단축 등이 있어요.
다형성은 상속을 통해서 기능을 확장하거나 변경하는걸 가능하게 해줘요.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 코드의 길이 감소가 되어 유지보수에 용이해요.
쉽게 생각해서 같은 동작이지만 다른 결과물이 나온다면 이걸 다형성이라고 볼 수 있어요.
자바 프로그래밍 객체지향에서 다형성을 녹여내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오버라이딩, 오버로딩 이 두가지가 있어요.
- 오버라이딩(
@Override
) : 부모 즉, 상위 클래스를 상속받아 상위 클래스에서 만들어진 메서드를 자신의 입맛대로 재창조(재정의) 해서 사용하는걸 말해요. - 오버로딩 : 하나의 클래스 안에서 같은 이름의 메서드를 사용하지만 각 메서드마다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그 결과물도 다르게 구현할 수 있게 만드는 개념이에요.
오버로딩이 가능하려면 메서드끼리 이름은 같지만 매개변수의 갯수나 데이터타입이 다르면 오버로딩이 적용돼요. (매개변수에 따라 호출하는 메서드가 달라져요.)
메서드 이름이 같아도 문법 에러가 나지않아요.
메서드 오버로딩을 사용하기 위해선 반환형이 같아야해요.
상속은 객체지향의 꽃이라고 할 수 있어요.
상속이란 기존 상위 클래스에 근거하여 새롭게 클래스와 행위(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게 해주는 개념이에요.
기존 클래스에서 기능을 가져와 재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새롭게 만든 클래스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만들어줘요.
자바에선 단일 상속만 지원되며, C++은 다중 상속이 지원돼요.
이 때문에 원래 자바쪽에서는 다중 상속이 객체 지향적인 관점에서 크게 유효하지 않다고 생각했지만,
다중 상속이 필요할 순 있다고 인정하여 대비책으로 인터페이스를 다중 상속(구현) 할 수 있게해서 임시적인 다중 상속에 대한 길을 뚫어줬어요.
그렇다고 인터페이스의 존재 이유가 다중 상속을 지원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하면 안돼요.
- 개발 시간 단축 : 다른 개발자와 협업을 할 때 다른 개발자가 그 부분을 완성하기 전에 서로 인터페이스로 규약만 정해두어 각자의 부분만 따로 나눠서 작성된 코드를 컴파일 할 수 있어요.
- 클래스간 결합도를 낮출 수 있다 : 코드의 종속성을 줄이고 유지보수성을 높이도록 해줘요.
- 표준화가 가능하다 : 클래스의 기본틀을 제공하여 개발자들에게 정형화된 개발을 강요할 수 있어요.
즉 인터페이스는 메서드의 틀을 미리 만들어 개발자간의 의사소통 혼선을 줄여주고 다형성 개발에 유리함을 가져다주는 객체에요.
추상클래스는 트리형식으로 상위클래스와 하위클래스로 나뉘어지는 트리구조입니다.
하위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에서 추상화시킨 생성자 혹은 메서드를 정의하면서 더 구체화되어갑니다.
반면에, 인터페이스는 트리구조와 같은 수직적 구조가 아닌 수평적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추상클래스는 하나의 상위클래스에게만 상속받을 수 있지만, 수평적 구조의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클래스가 여러 인터페이스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SRP, OCP, LSP, ISP, DIP가 있으며
시간이 지나도 유지보수와 확장이 쉬운 시스템을 만들고자 할 때 이 원칙들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작성된 소스코드를 컴파일러가 바이트 코드로 변환합니다. (class 파일)
- JVM이 바이트코드를 해석하여 자바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바이트코드는 JVM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된 코드입니다.
JVM만 설치되어 있다면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LTS란 Long Term Support의 줄임말로
일반적인 버전보다 장기간에 걸쳐 지원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소프트웨어의 버전 또는 에디션입니다.
Java에서 대표적인 LTS 버전은 Java8, Java11 가장 최근에 나온 Java17이 있어요.
- Lambda 표현식
- Functional 인터페이스
- 인터페이스의 Default method
- Stream
- Optional
- 날짜 관련 클래스 (
java.time
) - 메서드 레퍼런스
- HTTP/2 지원
- 람다 지역변수 구문 (var)
- 모듈
- 프로파일링 및 진단
- 가비지 수집
- Docker 컨테이너에 대한 향상된 기능
- 성능 향상
java.util.Random
클래스 확장- 새로운 라이센스 적용
기본 자료 타입을 객체로 다루기 위해서 사용하는 클래스에요.
null이 올 수 있는 값을 감싸는 Wrapper 클래스로,
참조하더라도 NPE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클래스에요.
자바에서 여러 원소들을 담을 수 있는 객체의 모음, 그룹입니다.
Collection 인터페이스를 상속받고 있는 List, Set, Queue
가 있으며,
Collection 인터페이스를 상속받고 있지는 않지만 Collection으로 분류되는 Map
도 있어요.
List
: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해요.Set
: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아요.Queue
: 선입선출(FIFO)을 기본으로 사용하며 순서가 중요한 업무에서 사용해요.Map
: 키(key), 값(value)의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집합으로
순서는 유지되지 않으며 키(key)의 중복값을 허용하지 않으나
값(value)의 중복값은 허용해요.
컬렉션, 배열 등에 대해 저장되어있는 요소들을 하나씩 참조하며 반복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에요.
Stream을 사용하면 불필요한 반복문과 그 안에서 이루조지는 조건문을 사용하지 않고 깔끔하고 직관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어요.
Stream은 크게 Stream의 생성, 중개연산, 최종연산으로 구조가 나뉘어요.
익명함수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함수를 보다 단순하게 표현하는 방법이에요.
클래스나 메소드에서 사용할 내부 데이터 타입을 컴파일 시에 미리 지정하는 방법이에요.
제네릭을 사용할 시 여러 타입의 Wrapper 클래스를 유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클래스나 메소드 내부에서 사용되는 객체의 타입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요.
또한 반환값에 대한 타입 변환 및 타입 검사에 들어가는 노력을 줄일 수 있어요.
구체적인 클래스 타입을 알지 못해도 그 클래스의 메소드, 타입, 변수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에요.
리플렉션을 활용한 예시는 Spring의 의존성 주입(DI)이 있어요.
쓰레기 객체를 청소하는 작업을 GC라고 합니다.
JVM의 Heap 영역에서 다루며,
Heap 영역 안에서도 Young 영역에서 발생하는 GC는 마이너 GC
Old 영역이나 Perm 영역에서 발생하는 GC는 메이저 GC로 나뉩니다.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며,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요청을 하면 그에 대한 결과를 다시 전송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자바 프로그램 입니다.
HTTP 프로토콜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가장 먼저 받아 해당 요청을 처리해야하는 적합한 컨트롤러를 찾아 위임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서블릿이에요.
Spring이 제공하는 기능이 개발자가 편리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해요.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해줄 뿐더러 개발자가 기본적인 디자인패턴(DI, AOP, 서비스 추상화) 등을 강제적으로 사용하게끔 함으로서 코드 구조 퀄리티의 최소한을 보장하는 장점 또한 있어요,
Spring Boot는 내부에 Tomcat이 포함되어있어 따로 설치하거나 버전관리를 해주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starter를 이용하여 개발 시작단계에 필요한 의존성들을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환경설정을 편하게 해준다.)
ApplicationContext(BeanFactory)가 알고있는 객체,
즉 ApplicationContext(BeanFactory)가 만들어서 그 안에 담고있는 객체,
Spring에 의하여 관리당하는 자바 객체를 의미해요.
우리가 new 연산자로 어떤 객체를 생성했을 때 그 객체는 빈이 아니다
자바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하며 생성된 자바 객체들에게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바 객체를 스프링에서는 빈(Bean)이라고 부르며,
스프링 컨네이너는 객체의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하므로 싱글톤 컨테이너라고도 불립니다.
IOC container (DI container)
Spring container
Singleton container
모두 같은 말이다.Spring Container의 싱글톤 패턴은 싱글톤 레지스트리를 통해 구현되었다.
빈의 생성과 관계설정 같은 제어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BeanFactory) 빈을 생성하고 관계를 설정하는 IOC 기본 기능에 초점을 맞춘 의미
ApplicationContext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성정보(Bean 포함)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며,
BeanFactory 인터페이스를 상속 받은 인터페이스 입니다.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의 차이점은
BeanFactory는 지연로딩(lazy-loading) 이며,
ApplicationContext는 사전로딩(pre-loading) 입니다.
BeanFactory의 확장된 버전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한다.)
(ApplicationContext) 별도의 정보를 참고해서 빈의 생성, 관계 설정 등의 제어를 총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의미
의존성 주입 즉, 객체를 생성하는게 아니라 객체를 외부에서 주입시켜주는 방식입니다.
DI방식에는 3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차이는 이러합니다.
-
생성자 주입
가장 선호하는 방식이며,
final
키워드 사용으로 불변성을 통한 오류 방지가 가능합니다.
또한 lombok의 어노테이션(@RequireArgsConstructor
)을 활용하여 간단히 작성할 수 있습니다.
순수 자바의 특징을 잘 살리는 방법입니다. -
필드 주입
코드가 간결하지만 의존관계가 눈에 잘 보이지 않아 추상적이고, 이로 인해 의존성 관계가 과도하게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테스트코드를 제외한 곳에선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
setter 주입
선택적으로 의존성을 주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의존성이 실수로 변경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제어의 역전이라는 뜻으로,
객체에 대한 제어권이 컨테이너로 역전되는 것을 말해요.
객체에 대한 제어권이 컨테이너로 역전되면
개발자들은 복잡한 관계설정에 얽매이지 않고 비즈니스 로직 구현에 집중할 수 있어요.
개발자가 직접 객체를 제어해야합니다. (Bean들의 생명주기 관리)
객체의 의존성을 맺어주고, 초기화를 해주는 등..
개발자들은 복잡한 관계설정에 얽매이고 비즈니스 로직 구현에 집중할 수 없을거에요.
호환성있는 서비스 추상화, 즉 잘 만든 인터페이스에요.
우리가 Low level의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코드 내부 동작 방식을 변경할 수 있어요.
대표적으로 build.gradle
파일에서
spring-boot-starter-web
을 주입하면 tomcat으로 실행되고
spring-boot-starter-webflux
를 주입하면 Netty로 실행돼요.
이렇듯 우리의 소스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내부적으로 동작하는 로직을 변경하여
관리하는 작업을 Spring에게 맡기고 개발자는 로직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하는게 PSA에요.
Spring은 특정 기술에 직접적 영향을 받지 않게끔 객체를 POJO 기반으로 한번씩 더 추상화한 Layer를 갖고 있으며,
이를통해 일관성있는 Service Abstraction(서비스 추상화)를 만들어 내요. 즉, 사용하는 기술이 바뀌어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해줘요.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불리며,
어떤 로직을 기준으로 핵심적인 관점, 부가적인 관점으로 나누어서 보고
그 관점을 기준으로 각각 모듈화 하겠다는 것이다.
Aspect로 모듈화하고 핵심적인 비즈니스 로직에서 분리하여 재사용하겠다는 것이 AOP의 취지에요.
객체의 인스턴스가 오직 1개만 생성되는 패턴입니다.
멀티스레드에서 객체를 공유하며 동시성 이슈도 대처할 수 있는 디자인패턴 입니다.
thread-safe 하게 싱글톤을 구현 하려면
getInstance()
를 통해 단일 인스턴스를 반환하는 방법Synchronized
키워드를 통해 구현 하는 방법Double Check
기법- Java 진영에서 가장 많이 선호하는
LazyHolder
방식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위의 방법들은 리플렉션으로 조작이 가능합니다.
리플렉션으로 조작이 불가능한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고 싶다면 Enum class를 활용해 구현할 수 있습니다. (Enum은 리플렉션이 막혀있다.)
싱글톤 패턴의 대표적인 예시로 스프링 컨테이너가 있습니다.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객체(Bean)는 모두 싱글톤이 보장됩니다. (싱글톤 컨테이너라고도 불림)
SOLID 법칙의 DIP 의존성 역전 법칙에 따르면
안정화된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는 변동성이 큰 구현체에 대한 의존을 지양하고,
안정된 추상 인터페이스를 선호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구현체를 독립적으로 확장하거나 구현체가 늘어나는 경우도 고려했으며,
이같은 추상화를 통한 구현방식은 OCP도 실현해주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filter는 dispatcher 서블렛보다 먼저 위치해있어요.
또한 servlet 스펙에 포함되어있어요.
그러므로 dispatcher 서블렛에 요청이 전달되기 전에 요청에 대한 부가적인 일을 처리할 수 있어요.
(요청에 대한 로깅, 이미지/데이터 압축 및 문자열 인코딩)
interceptor는 spring application(spring context) 내부에 위치해있으며, dispatcher 서블렛 뒤에 위치해있어요. interceptor 또한 Controller로 요청이 전달되기 전에 요청에 대한 부가적인 일을 처리할 수 있어요.
(인증/인가 등과 같은 공통 작업, Controller로 넘겨주는 정보의 가공, API 로깅)
먼저 프레임워크는 정해진 틀에서 프로그래밍을 하는 방식이며,
라이브러리는 먼저 만들어진 코드를 가져다 쓰는 방식입니다.
프레임워크는 코드가 흐름을 가지고 있으며,
라이브러리는 개발자가 흐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객체에 관한 명령어 집단을 의미합니다.
- 종류에는
CREATE
,ALTER
,DROP
,GRANT
,REMOVE
,COMMENT
,TRUNCATE
가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객체의 데이터에 관한 명령어 집단을 의미합니다.
- 종류에는
INSERT
,SELECT
,UPDATE
,DELETE
,LOCK TABLE
,EXPLAIN PLAN
,CALL
등이 있습니다.
- 트랜잭션의 성격을 제어하는 명령어 집단을 의미합니다.
- 종류에는
SET TRANSACTION
,COMMIT
,ROLLBACK
,SAVEPOINT
와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ACID라고 불리며 순서대로
- 원자성 (Actomicity) : 한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한 적업들은 하나의 단위로 처리한다.
- 일관성 (Consistency) : 트랜잭션은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유지한다.
- 독립성 (격리성, Isolation) :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격리해야한다.
- 지속성 (영속성, Durability) : 트랜잭션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결과가 항상 저장되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용자들이 같은 데이터를 동시에 접근하는 상황에서 데이터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지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처리의 순차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종류에는 공유락, 베타락, 업데이트락, 내재락이 있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DB내의 여러 테이블의 레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결과 집합으로 만드는 것이에요.
즉, 두개 이상의 테이블에 대해서 결합하여 나타낼 때 조인을 이용해요.
현재 자바진영의 ORM 기술 표준으로 인터페이스의 모음입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객체의 패러다임 불일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과 영속성 컨텍스트 제공이 큰 특징입니다.
영속성 컨텍스트란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라는 뜻이며,
크게 1차캐시와 쿼리문저장소로 나뉘어집니다.
- 1차캐시
- 더티체킹
- 동일성보장
- 쓰기 지연
- 지연로딩
JPA의 구현체 중에 하나로 JPA의 대부분이 Hibernate로
구현되었으며 내부적으로 JDBC API를 사용합니다.
즉시로딩은 연관된 객체를 한번에 가져오며 쿼리가 날아가는 방식이고,
지연로딩은 연관된 객체를 proxy로 가져와 직접 접근할 때 쿼리가 날아가는 방식입니다.
문자가 아닌 자바 코드로 쿼리를 작성하고,
컴파일 시점에 문법오류를 쉽게 발견할 수 있고 동적인 쿼리 작성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트랜잭션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거는 Lock을 거는 방법
- DB가 제공하는 락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JPA가 제공하는 버전관리 기능을 사용한다.
- 트랜잭션을 커밋하기 전 까지는 트랜잭션의 충돌 여부를 알 수 없다.
- 트랜잭션 충돌이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우선 Lock을 거는 방법
- DB가 제공하는 락 기능을 사용한다. (
select for update
) - 데이터를 수정 시 즉시 트랜잭션 충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스는 운영체제로 부터 자원을 할당 받는 작업의 단위 입니다.
두 개 이상 다수의 프로세서(CPU)가 협력적으로 하나 이상의 작업(Task)을 동시에 처리하는 개념이다 (병렬처리)
멀티스레드와는 다르게 한 곳에서 문제가 생겨도 다른 프로세스에 영향을 주지 않아, 작업 속도가 느려지는 손해 정도는 생기지만 정지되거나 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독립된 메모리 영역이기 때문에 작업량이 많을수록(Context Switching이 자주 일어나서 주소 공간의 공유가 잦을 경우) 오버 헤드가 발생하여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멀티프로세스 환경에서 CPU가 어떤 하나의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터럽트 요청에 의해 다음 우선 순위의 프로세스가 실행되어야 할 때 기존의 프로세스의 상태 또는 레지스터 값(Context)을 저장하고 CPU가 다음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새로운 프로세스의 상태 또는 레지스터 값(Context)을 교체하는 작업이다.
프로세스의 정보는 PCB(Porcess Control Block)에 저장되며
프로세스가 생성될 때 메모리에 해당 프로세스의 PCB가 생성되고
프로세스 종료 시 PCB가 삭제된다.
프로세스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단위(주체) 를 의미합니다.
프로세스 내에 여러개 생길 수 있습니다.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둘 이상의 스레드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멀티스레드로 인해 동시성 이슈가 발생합니다.
Thread Safe
란, 동시성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뜻 입니다.
동시성 문제란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싱글톤이 보장된 하나의 인스턴스의 필드를
여러 쓰레드가 동시에 접근했을 때 발생하게 되는 문제입니다.
조회만 할 시에는 발생하지 않으며 어디선가 값을 변경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 ThreadLocal을 사용하여 쓰레드 단위로 로컬변수를 할당하여 사용해요.
- 암시적 Lock,
synchronized
키워드를 붙여 한번에 하나의 스레드만 접근할 수 있게해요.- 싱글톤 환경에서 모든 요청에 대해
synchronized
를 이용하여 처리한다면 성능문제가 있어요.
- 싱글톤 환경에서 모든 요청에 대해
- 명시적 Lock,
ReentrantLock
을 사용하고 동시에 여러 Lock을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해요. - 스레드에 안전한 객체를 사용해요
Concurrent
패키지- ex)
ConcurrentHashMap
- ex)
- 불변 객체를 만들어요.
-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부분을 제거해요. (
setter
) - 객체 내부 상태가 변하지 않도록 변수들을
final
로 선언해요 (final 키워드를 사용하면 무조건 초기화를 해야해요.)
-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부분을 제거해요. (
두 개 이상의 작업이 자원을 점유한 상태로 서로 상대방의 작업이 끝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현상을 의미해요.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완료되지 못함)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방, 회피, 발견, 회복 기법이 존재해요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놓는 임시 장소를 가리키는 말이에요.
캐시의 접근 시간에 비해 원래 데이터를 접근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해요.
캐시에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놓으면 계산이나 접근시간 없이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요.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 입니다.
네트워크 상에서 중간에 제 3자가 정보를 볼 수 없도록 암호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는 프로토콜 자체 신뢰성과 비신뢰성, (개발자가 추가로 정의하여 신뢰성을 갖게 할 수 있습니다.)
TCP는 순서보장 UDP는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 입니다. (UDP가 단순하고 빠름)
또한 TCP처럼 연결하는데 3번 handshake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UDP는 개발자가 추가로 정의하여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최근 UDP가 사용되는 대표적인 예시는 HTTP3입니다.
Amazon Web Service의 줄임말로 클라우드 서비스라고도 해요. 유저가 직접 서버를 구입하고 설치할 필요 없이 AWS상에서 서버를 구축하고 사용할 수 있어요.
먼저 확장성을 고려했어요.
그리고 ELB를 거치고 EC2에 접근이 되기 때문에 EC2에 대한 직접접근을 막을 수 있어요.
컨테이너 기술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환경을 신속하게 구축하고 테스트 및 배포를 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입니다.
쿠버네티스란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확장 및 관리를 자동화하는 오픈 소스 시스템입니다.
Stack은 후입선출(LIFO) 방식으로 쌓아둔 블럭을 위에서부터 제거하는 것 비유를 할 수 있어요.(마지막에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간다.)
Queue는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줄서있는 것에 비유할 수 있어요.(먼저 들어온게 먼저 나간다.)
- 현재 작업의 응답이 끝나야 다음 작업이 실행된다. (순차적으로 실행)
- 현재 작업의 응답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작업이 실행된다. (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 가능)
- 제어권이 호출된 함수에 넘어가서 호출된 함수 내에서 작업이 모두 끝난 후 호출한 함수에게 다시 제어권이 넘어온다.
- 작업이 완료된 후 새로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제어권이 호출한 함수에 있기 때문에 작업의 완료여부와 관계없이 새로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동기-블로킹, 비동기-논블로킹을 완전히 동일한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유사하게 동작하지만, 주요 관심사에 따라 차이가 난다.
절대경로
: 최상위 디렉토리가 반드시 포함된 경로상대경로
: 현재 디렉토리(비교 대상)를 기준으로 작성된 경로
변화를 수용하고 협업과 제품의 빠른 인도를 강조하는 반복적 개발 방법이다.
종류로는 테스트 주도 개발, 스크럼 등이 있다.